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3460
13460번: 구슬 탈출 2
첫 번째 줄에는 보드의 세로, 가로 크기를 의미하는 두 정수 N, M (3 ≤ N, M ≤ 10)이 주어진다. 다음 N개의 줄에 보드의 모양을 나타내는 길이 M의 문자열이 주어진다. 이 문자열은 '.', '#', 'O', 'R', 'B'
www.acmicpc.net
내 풀이
import sys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
input = sys.stdin.readline
n,m = map(int,input().split())
graph = [list(input().strip()) for _ in range(n)]
visited = [[[[False]*m for _ in range(n)] for _ in range(m)] for _ in range(n)]
dx = [-1,1,0,0]
dy= [0,0,-1,1]
def check(x,y,nx,ny):
count = 0
while graph[x+nx][y+ny] !='#' and graph[x][y]!='O':
x += nx
y += ny
count +=1
return x,y,count
def solution():
for i in range(n):
for j in range(m):
if graph[i][j]=='R':
rx,ry = i,j
elif graph[i][j]=='B':
bx,by = i,j
#q = deque([(rx,ry,bx,by,1)])
q = deque()
q.append([rx,ry,bx,by,1])
visited[rx][ry][bx][by]=True
while q:
rx,ry,bx,by,count = q.popleft()
if count > 10:
break
for i in range(4):
nrx,nry,rcount = check(rx,ry,dx[i],dy[i])
nbx,nby,bcount = check(bx,by,dx[i],dy[i])
if graph[nbx][nby] !='O':
if graph[nrx][nry] =='O':
return count
if nrx == nbx and nry == nby:
if rcount > bcount :
nrx -= dx[i]
nry -= dy[i]
else:
nbx -= dx[i]
nby -= dy[i]
if not visited[nrx][nry][nbx][nby]:
visited[nrx][nry][nbx][nby] = True
q.append((nrx,nry,nbx,nby,count+1))
return -1
print(solution())
포인트는 두 구슬중에 어떤것이 앞선 구슬인가를 구하는 방법이다.
다른사람의 풀이
N, M = map(int, input().split())
B = [list(input().rstrip()) for _ in range(N)] # Board
dx = [-1, 1, 0, 0] # x축 움직임
dy = [0, 0, -1, 1] # y축 움직임
queue = [] # BFS : queue 활용
# Red(rx,ry)와 Blue(bx,by)의 탐사 여부 체크
visited = [[[[False] * M for _ in range(N)] for _ in range(M)] for _ in range(N)]
def pos_init():
rx, ry, bx, by = 0, 0, 0, 0 # 초기화
for i in range(N):
for j in range(M):
if B[i][j] == 'R':
rx, ry = i, j
elif B[i][j] == 'B':
bx, by = i, j
# 위치 정보와 depth(breadth 끝나면 +1)
queue.append((rx, ry, bx, by, 1))
visited[rx][ry][bx][by] = True
def move(x, y, dx, dy):
cnt = 0 # 이동 칸 수
# 다음이 벽이거나 현재가 구멍일 때까지
while B[x+dx][y+dy] != '#' and B[x][y] != 'O':
x += dx
y += dy
cnt += 1
return x, y, cnt
def solve():
pos_init() # 시작 조건
while queue: # BFS : queue 기준
rx, ry, bx, by, depth = queue.pop(0)
if depth > 10: # 실패 조건
break
for i in range(4): # 4방향 이동 시도
nrx, nry, rcnt = move(rx, ry, dx[i], dy[i]) # Red
nbx, nby, bcnt = move(bx, by, dx[i], dy[i]) # Blue
if B[nbx][nby] != 'O': # 실패 조건이 아니면
if B[nrx][nry] == 'O': # 성공 조건
print(depth)
return
if nrx == nbx and nry == nby: # 겹쳤을 때
if rcnt > bcnt: # 이동거리가 많은 것을
nrx -= dx[i] # 한 칸 뒤로
nry -= dy[i]
else:
nbx -= dx[i]
nby -= dy[i]
# breadth 탐색 후, 탐사 여부 체크
if not visited[nrx][nry][nbx][nby]:
visited[nrx][nry][nbx][nby] = True
# 다음 depth의 breadth 탐색 위한 queue
queue.append((nrx, nry, nbx, nby, depth+1))
print(-1) # 실패 시
solve()
https://wlstyql.tistory.com/72
백준 알고리즘 13460 (구슬 탈출 1,2) - python
[문제] 백준 알고리즘 13459 (구슬 탈출) >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3459 13459번: 구슬 탈출 첫 번째 줄에는 보드의 세로, 가로 크기를 의미하는 두 정수 N, M (3 ≤ N, M ≤ 10)이 주어진다. 다음 N..
wlstyql.tistory.com
'취준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6953(A -> B) - 파이썬 (0) | 2022.08.31 |
---|---|
1389 - 파이썬 (0) | 2022.08.23 |
11725 - 파이썬 (0) | 2022.08.17 |
2468 - 파이썬 (0) | 2022.08.16 |
14502 - 파이썬 (0) | 2022.08.03 |